인공 지능2 인공지능(AI) 배경지식: 용어의 유래부터 현재의 딥러닝(DNN)까지 안녕하세요! 모두의 IT 부케, 케빈입니다. :) 오늘은 익숙하지만 설명하자면 어려운 그 용어, 인공지능에 대한 기초 지식을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비전공자부터 전공자까지 모두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자, 그러면 이제 시작해볼까요? ■ 인공지능(AI)의 등장: 용어의 유래와 정의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는 미국의 컴퓨터 공학자이자 인지 과학자인 존 매카시(John McCarthy)가 1956년 미국 다트머스 대학 학회에서 처음 사용했습니다. 비록 당시 학회에는 약 10여 명의 학자만 참여했지만, 이후 그 학회 참석자와 그들의 제자들이 AI의 미래를 만들게 됩니다. "인간의 지능, 두뇌를 컴퓨터로 구현할 수 있지 않을까?"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여 학습, 추론, 지각 능력이 필요한 작업을 할 수.. 2022. 10. 14. 최초의 신경망 모델 퍼셉트론: 정의, 동작 원리 그리고 한계점 안녕하세요! 모두의 IT 부케, 케빈입니다. :) 오늘은 최초의 인공 신경망 모델로 평가받는 퍼셉트론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함께 공부해 보실까요? ■ 퍼셉트론의 정의: 인공 뉴런 퍼셉트론(Perceptron)은 perception과 neuron의 합성어로 인공 뉴런이라고 불립니다. 퍼셉트론은 현대에 널리 알려진 인공 신경망의 초기 버전으로, 1958년 프랭크 로젠 블랫(Frank Rosenblatt)이 제안한 모델입니다. 퍼셉트론이 인공 뉴런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인간 뉴런의 작동 방식을 모방했기 때문입니다. 즉, 퍼셉트론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생물학적 신경계의 기본 단위인 뉴런의 동작 과정을 수리적으로 모델링한 알고리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퍼셉트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간 뉴런(.. 2022. 10.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