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기초

[파이썬/Python] 인덱싱과 슬라이싱: 음수 인덱스가 어려워요.

by 모두의 케빈 2023. 7. 19.

문자열과 리스트의 인덱스


문자열의 인덱스

 

문자열과 리스트는 Iterable(순회할 수 있는) 객체입니다. 문자열은 여러 개의 문자들을 모아 놓은 배열이고, 리스트는 다양한 값을 모아 놓은 배열입니다. 이 두 자료형의 원소에는 위의 그림처럼 인덱스(순서)가 있습니다.

편의 상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정순(정방향),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역순(역방향)이라고 하겠습니다.

인덱스에는 대소 관계가 있는데요. 정순이라면 왼쪽의 인덱스일수록 작은 값입니다. 역순이라면 오른쪽의 인덱스일수록 작은 값입니다.

파이썬에서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잘 활용하시려면 인덱스의 대소 관계를 정확히 알고 계셔야 합니다.

 

인덱싱(Indexing)과 슬라이싱(Slicing)


 

인덱싱(Indexing)은 문자열이나 리스트와 같은 컬렉션 자료형에서 기준값으로 개별 원소에 접근하는 방법입니다. 아래와 같이 컬렉션 자료형 옆에 대괄호([ ])를 붙여서 활용합니다. 참고로 정순에서는 인덱스의 시작값은 0입니다.

text =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print(text[0], text[2])
 
 >>>>> 실행 결과: 오 도

 

리스트에서도 동일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list_ = ['0','1','2','3','4','5','6','7','8','9']

print(list_[0], list_[5])

 >>>>> 실행 결과: 0 5

 

이번에는 음수 인덱스를 활용해 보겠습니다. 음수 인덱스는 역순이고, 제일 작은 인덱스는 -1(문자열의 끝)입니다. 

text =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print(text[-1], text[-2])
 
 >>>>> 실행 결과: . 요

 

list_ = ['0','1','2','3','4','5','6','7','8','9']

print(list_[-5], list_[-7])

 >>>>> 실행 결과: 5 3

 

슬라이싱(Slicing)은 여러 개의 개별 원소를 미끄러지듯(Slicing) 접근하는 방식입니다. 인덱싱과 마찬가지로 대괄호를 사용하며 범위는 대괄호 안에 "시작값:마지막값:간격"의 방식으로 지정합니다. 참고로 슬라이싱은 마지막 값의 인덱스는 출력하지 않습니다. (이하가 아니라 미만의 개념)

text =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print(text[0:12:1]) # 한 칸씩 출력
print(text[0:12])   # 간격을 생략하면 '1'과 동일하다.
print(text[0:12:2]) # 한 칸 건너 뛰고 출력
print(text[0:12:4]) # 세 칸 건너 뛰고 출력

 
 >>>>> 실행 결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
오도좋 루되
오좋루

 

list_ = ['0','1','2','3','4','5','6','7','8','9']

print(list_[0:8])
print(list_[0:8:2])


 >>>>> 실행 결과:
['0', '1', '2', '3', '4', '5', '6', '7']
['0', '2', '4', '6']

 

간격에 음수를 입력하면 역순으로 개별 원소를 접근합니다. 역순으로 컬렉션 자료형을 슬라이싱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인덱스의 대소 관계에 대한 개념입니다. 

list_ = ['0','1','2','3','4','5','6','7','8','9']

print(list_[0:8:-1])

 >>>>> 실행 결과: []

 

위의 코드는 빈 리스트가 반환되었는데요. 그 이유는 슬라이싱의 시작 인덱스가 마지막 인덱스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역순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인덱스의 대소 관계를 고려합니다. '0'번째 원소는 가장 왼쪽에 있기 때문에, 역순으로 접근할 때는 가장 큰 인덱스의 값이 됩니다.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해야 합니다.

list_ = ['0','1','2','3','4','5','6','7','8','9']
print(list_[-1:-11:-1])

 >>>>> 실행 결과: ['9', '8', '7', '6', '5', '4', '3', '2', '1', '0']

 

역순도 간격을 띄워서 출력할 수 있습니다.

list_ = ['0','1','2','3','4','5','6','7','8','9']
print(list_[-1:-11:-2])

 >>>>> 실행 결과: ['9', '7', '5', '3', '1']

 

인덱스의 대소 관계에 대한 개념이 확실하시다면 아래 코드처럼 음수와 양수 인덱스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list_ = ['0','1','2','3','4','5','6','7','8','9']

print(list_[-1:5:-1])
print(list_[0:-4:2])

 >>>>> 실행 결과:
['9', '8', '7', '6']
['0', '2', '4']

댓글